[사례 ②] 금지 품목 포함으로 통관 거부된 경우 – 폐기 처리 막는 방법은?

해외직구 다이어트 보조제가 통관 금지 성분으로 인해 폐기 통보를 받은 사례

통관 금지 품목 모르고 주문한 실제 사례 + 대처법 정리


🟦 서론

해외직구를 하다 보면 국내 통관 규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금지 품목’이 포함된 물건을 주문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런 실수가 단순한 배송 지연이 아니라, 물품 폐기 또는 반송이라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필자 역시 기능성 다이어트 보조제를 구매했다가 국내 반입 금지 성분이 포함돼 전량 폐기 처분을 받은 경험이 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통관 거부 사례를 바탕으로, 어떤 성분이 문제였는지, 폐기 통보를 받았을 때 어떤 대처가 가능한지, 그리고 다음 주문 때 어떤 점을 사전에 확인해야 하는지를 정리했다.


🟦 사례 개요: 어떤 일이 있었나?

필자는 2025년 6월, 미국 헬스 전문 쇼핑몰에서 ‘식욕 억제 다이어트 보조제’를 주문했다.
제품명은 생략하지만, 설명에는 ‘천연 성분 함유’라고 적혀 있었다.
상품 도착 전 관세청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통관 불가 문자를 받았다.

“[관세청] 수입 통관 불가 – 금지 성분 포함. 폐기 예정. 자세한 문의: 세관 125”

당황해서 관세청에 전화해본 결과, 제품 성분 중 ‘요힘빈(yohimbine)’이라는 성분이
국내에서는 ‘의약품 성분’으로 분류되어 반입이 금지되어 있었다.


🟦 문제의 핵심: ‘해외 판매 가능 = 국내 반입 가능’ 아님

많은 해외직구 사용자들이 “해외에서 파는 제품이면 한국에도 들여올 수 있겠지”라는 착각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한민국 식약처와 관세청 기준에 따라 반입이 금지된 성분이나 제품군이 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통관 금지 성분/품목 예시

  • 요힘빈 (Yohimbine) : 다이어트, 발기부전 보조제에 주로 포함
  • DMAA (1,3-dimethylamylamine) : 강력한 자극 성분, 운동 보조제에 포함
  • CBD 오일 (칸나비디올) : 마약 성분으로 분류돼 전면 금지
  • 중고 의료기기 : 개인 직구로 수입 불가
  • 비살균 정액 제품 / 씨앗류 : 농림축산 검역에서 금지

🟦 폐기 통보 후, 어떤 선택이 가능한가?

폐기 통보를 받았을 때, 상황에 따라 선택지는 3가지로 나뉜다:

  1. 폐기 수용
  • 별도 절차 없이 폐기되며, 구매자는 환불 불가 (배송비 + 상품가 모두 손해)
  1. 자진 반송 요청 (가능한 경우)
  • 셀러와 협의 후 반송 → 환불 가능성 있음
  • 단, 배송비는 구매자 부담이며, 일부 제품은 반송 자체가 불가
  1. 제품 성분 증빙 제출 (극히 일부 경우)
  • 영문 성분표, MSDS 등 자료 제출 후 검토 요청
  • 일반 개인 구매자에겐 매우 어려운 절차

🟦 대처 방법: 폐기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 구매 전 반드시 ‘수입금지품목’ 목록 확인
    ▶ 관세청 유니패스 또는 식약처 홈페이지에서 성분명 검색
    ▶ “통관 가능 여부 조회” 서비스 활용
  • 성분명 확인 후 구매
    ▶ 제품 설명에 ‘Proprietary Blend’(혼합성분)만 표시되어 있다면 구매 피하기
    ▶ 성분이 명확히 표시된 제품만 선택
  • 가능하면 검증된 국내 정식 유통 제품 구매 고려
    ▶ 비슷한 제품이 국내에도 판매 중일 수 있음

🟦 실제 경험을 통한 교훈

필자는 이 사건 이후 해외직구 시 다음과 같은 점을 반드시 체크한다:

  • “배송대행지 커뮤니티나 네이버 카페에서 해당 제품의 통관 여부를 사전 검색”
  • “식약처에 직접 문의해 통관 가능 여부 확인”
  • “성분명이 불명확한 제품은 절대 구매하지 않음”

단 한 번의 실수로 인해 9만 원짜리 제품이 폐기되고, 시간과 돈을 모두 잃었기 때문이다.


✅ 마무리

해외직구에서 ‘금지 품목 포함’은 단순 실수가 아니라 재정적인 손실과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떤 성분이 문제가 됐는지, 폐기 이후 어떤 선택이 가능한지를 이해하면
앞으로 동일한 실수를 하지 않게 된다. 다음 글에서는 과세 기준 초과로 세금 폭탄을 맞은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 다음 글 예고

[사례 ③] 예상보다 많은 세금이 부과된 경우 – 세금 계산 방법과 절세 팁

위로 스크롤